맨위로가기

커 계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 계량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회전하는 블랙홀을 설명하는 시공간 계량이다. 1963년 로이 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질량과 각운동량을 갖는 물체의 중력장을 나타낸다. 커 계량은 보이어-린드퀴스트 좌표계로 표현되며, 사건 지평선, 작용권, 특이점 등의 구조를 가진다. 펜로즈 과정과 같은 현상을 통해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으며, 4-기울기 미분 연산자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커 계량은 슈바르츠실트 계량과 같은 다른 엄밀해와 관련되며, 다중극 모멘트를 통해 특징지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랙홀 - 초대질량 블랙홀
    초대질량 블랙홀은 10만 태양 질량 이상으로 은하 중심에 위치하며 활동은하핵과 퀘이사의 에너지원으로 여겨지는 천체로, 사건 지평선 망원경을 통해 이미지가 최초로 포착되었고 형성 과정과 질량 한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블랙홀 - 중력붕괴
    중력 붕괴는 천문학에서는 항성이, 지질학에서는 산체나 사면 등이 자신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커 계량

2. 정의

편의상 광속 = 1로 놓는다. 질량M\,, 각운동량J=Ma\,인 커 계량은 보이어-린드퀴스트 좌표계(Boyer–Lindquist coordinates)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1][12]

:

\begin{align}

ds^2 = & -\left(1-\frac{2Mr}{\Sigma}\right)dt^2 -\frac{4aMr\sin^2\theta}{\Sigma}dtd\phi \\

&+\frac{\Sigma}{\Delta}dr^2 + \Sigma d\theta^2 + \left(r^2+a^2+\frac{2a^2Mr\sin^2\theta} {\Sigma}\right) \sin^2\theta d\phi^2

\end{align}



여기서,

:\Sigma=r^2+a^2\cos^2\theta\,, \quad \Delta=r^2-2Mr+a^2\,

좌표의 범위는 -\infty , -\infty< r<\infty , 0\leq\theta\leq\pi0\leq \phi < 2\pi이다. 매개변수 M\,a\, 는 블랙홀의 질량 M\,각운동량 J=Ma\,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M\, 은 양의 상수이며, a\,는 음수가 될 수 있다.

3. 성질

커 계량은 대수적으로 특별하며, 페트로프 분류의 D형에 속한다. 커 계량은 두 개의 선형독립 킬링 벡터장을 가지는데, 이는 보이어-린드퀴스트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다.

:\frac\partial{\partial t}

:\frac\partial{\partial\phi}

이들은 각각 시간 변화 및 블랙홀 회전축에 대한 회전을 나타낸다.

4. 구조

커 계량은 밖부터 안으로의 순서로 다음과 같은 구조들을 가진다.[1]



1963년 로이 커가 발견한 커 계량은 회전하는 블랙홀을 설명하는 정확한 해이다. 전하를 띠면서 회전하는 블랙홀에 대한 해는 1965년에 발견된 커-뉴먼 계량이다.

이와 관련된 네 가지 해는 다음 표로 요약할 수 있다.

비회전 (J = 0)회전 (J\mathbb{R})
무전하 (Q = 0)슈바르츠실트
전하 (Q\mathbb{R})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커-뉴먼



회전하는 물체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하는 관성 끌림(렌스-티링 세차 운동)을 나타낸다. 특히 회전하는 블랙홀의 경우,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서는 빛을 포함한 모든 물체가 블랙홀과 함께 회전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영역을 작용권이라고 한다.

회전하는 블랙홀은 겉보기 특이점을 갖는 표면을 가진다. 바깥쪽 표면은 작용권을 둘러싸고 있으며, 납작한 구와 유사하다. 안쪽 표면은 사건 지평선을 나타낸다.

커 기하학은 측지선 방정식을 닫힌 형식으로 정확하게 풀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킬링 벡터장 외에도 킬링 텐서를 허용한다. 바일 텐서는 페트로프 형식 '''D'''이다.

4. 1. 작용권과 틀 끌림

지평선 밖에는 '''작용권'''이라는 지역이 존재한다. 작용권의 안쪽 경계는 사건 지평선이며, 바깥 경계는 다음과 같다.

:r_\text{erg}(\theta) = \frac{r_\text{S} + \sqrt{r_\text{S}^2 - 4\alpha^2 \cos^2\theta}}2

작용권 안의 입자는 블랙홀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회전하여야 한다. 이러한 효과를 틀 끌림(렌스-티링 세차 운동이라고도 함)이라고 한다. 작용권의 바깥 경계는 사건 지평선이 아니며,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입자는 작용권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특수한 경우, 입자가 탈출할 때 처음에 가졌던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지니고 탈출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커 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펜로즈 과정'''(Penrose process|펜로즈 과정영어)이라고 한다.

4. 2. 사건 지평선

커 블랙홀의 사건 지평선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r_\text{hor} = \frac{r_\text{S} + \sqrt{r_\text{S}^{2} - 4\alpha^2}}2

이는 g_{rr}=\infty의 두 해 가운데 더 큰 값이다. (다른 해는 코시 지평선이다.)

사건 지평선은 블랙홀의 경계로 여겨진다. 사건 지평선을 통과하여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 물체는 다시 블랙홀 밖으로 나올 수 없다.

커 계량에서 특이점 주위에 사건 지평선이 존재하려면

:\frac{GM^2}c\ge J

이어야만 한다. 이 부등식이 포화되는 경우를 '''극대 블랙홀'''이라고 한다.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커 계량은 벌거숭이 특이점이 되고, 우주 검열 가설에 따라서 실재하지 않는다고 추측된다.

관측된 블랙홀들 가운데, GRS 1915+105는 극대 커 블랙홀에 가까운 것으로 추측된다.[43]

4. 3. 코시 지평선과 특이점

커 블랙홀의 코시 지평선은 다음과 같다.

:r_\text{Cauchy} = \frac{r_\text{S} - \sqrt{r_\text{S}^{2} - 4\alpha^2}}2

이는

:g_{rr}=\infty

의 두 해 가운데 더 작은 값이다. (다른 해는 사건 지평선이다.) 코시 지평선은 일반적으로 불안정하므로, 이는 실제 블랙홀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커 계량의 특이점

:(r,\theta)=(0,\pi/2)

:0\le\phi<2\pi

에 위치하며, 고리 모양이다.

4. 4. 닫힌 시간꼴 곡선 (CTC)

코시 지평선 내부에는 닫힌시간꼴곡선(Closed timelike curve, CTC)이 존재할 수 있다. CTC는 인과율에 위배되는 현상이다.[1]

5. 4-기울기 미분 연산자

커 계량에 대한 반변 성분 g^{ik}의 계량 텐서는 보이어-린퀴스트 좌표에서 다음의 4-기울기 미분 연산자의 제곱을 표현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27]

g^{\mu\nu} \frac{\partial}{\partial x^\mu} \frac{\partial}{\partial x^\nu} =-\frac{1}{c^{2}\Delta} \left(r^{2} + a^{2} + \frac{r_\text{s}ra^{2}}{\Sigma}\sin^{2}\theta\right) \left(\frac{\partial}{\partial t}\right)^{2}- \frac{2r_\text{s}ra}{c\Sigma\Delta} \frac{\partial}{\partial\phi} \frac{\partial}{\partial{t}} +\frac{1}{\Delta\sin^{2}\theta} \left(1 - \frac{r_\text{s}r}{\Sigma}\right) \left(\frac{\partial}{\partial\phi}\right)^{2} + \frac{\Delta}{\Sigma} \left(\frac{\partial}{\partial r}\right)^{2} + \frac{1}{\Sigma} \left(\frac{\partial}{\partial\theta}\right)^{2}

6. 주요 표면

커 계량은 사건 지평선과 에르고스피어 외부 경계 등 중요한 표면을 가진다. 에르고스피어 외부 경계는 g_{tt} = 0 인 곳으로, 납작한 구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다.[24]

회전하는 블랙홀은 계량이 겉보기 특이점을 갖는 표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표면의 크기와 모양은 블랙홀의 질량각운동량에 따라 달라진다. 바깥쪽 표면은 에르고스피어를 둘러싸고 있으며, 납작한 구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다. 안쪽 표면은 사건의 지평선을 나타낸다. 이 지평선의 내부로 통과하는 물체는 다시는 이 지평선 밖의 세상과 소통할 수 없다.[1] 그러나 두 표면 모두 진정한 특이점은 아니다. 겉보기 특이점이 다른 좌표계에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7. 질량, 에너지 관계

펜로즈 과정 등을 통해 블랙홀의 완전 회전 에너지 E_{\rm rot} = c^2\left(M -M_{\rm irr}\right)가 추출될 경우,[27][20] 남은 질량은 불가역 질량 이하로 줄어들 수 없다. 블랙홀이 스핀 a=M으로 회전한다면, 총 질량 등가 MMM_\text{irr}와 같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에 비해 \sqrt{2} 배 더 높다. 이는 정지된 물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에너지를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질량-에너지 등가성에 의해 이 에너지 또한 질량 등가를 가지며, 이는 시스템의 총 질량-에너지 M에 더해진다.

물체의 총 질량 등가 M (중력 질량) (회전 에너지 포함)과 불가역 질량 M_\text{irr}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21][22]

:2 M_{\rm irr}^2 = M^2 + \sqrt{M^4 - J^2 c^2 / G^2} \Longrightarrow M^2 = M_{\rm irr}^2 + \frac{J^2 c^2}{4 M_{\rm irr}^2 G^2}.

8. 측지선

커 시공간에서 자유 낙하하는 입자의 운동(측지선 운동)은 해밀턴-야코비 방정식을 통해 기술되며, 변수 분리를 통해 풀 수 있다.[38][39] 커 시공간은 시간 병진 대칭과 회전 대칭과 관련된 두 개의 킬링 벡터가 존재하며, 이에 해당하는 두 개의 독립적인 보존량(에너지 E영어 와 각운동량 Lz영어)이 존재한다. 해밀턴-야코비 방정식이 적분 가능하려면, 해밀토니안 외에 네 번째 독립적인 보존량이 필요했는데, 브랜든 카터(Brandon Carter)는 이 네 번째 보존량(Q영어)의 존재를 지적했다. 이를 카터 상수라고 부른다.[26] 카터 상수는 입자의 총 각운동량과 관련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Q = p_{\theta}^{2} + \cos^{2}\theta \left(a^{2}\left(\mu^{2} - E^{2}\right) + \left(\frac{L_z}{\sin\theta} \right)^{2} \right).

여기서 pθ영어는 입자의 4-운동량이다.

마틴 워커(Martin Walker)와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는 커 시공간에 2계의 분리 불가능한 킬링 텐서가 존재함을 보였으며, 카터 상수가 입자의 운동량에 관해 2차 보존량이 됨을 밝혔다.[40] 1973년, 로버트 플로이드(Robert Floyd)는 커 시공간에 존재하는 2계의 킬링 텐서가 2계의 킬링-야노 텐서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41]

9. 다른 엄밀해와의 관계

커 계량은 정상 축 대칭 진공 해로,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의 특정 예시이다.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에 대한 모든 정상 축 대칭 진공 해 집합은 에른스트 진공이다.

커 해는 블랙홀을 모델링하는 다양한 비진공 해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케르-뉴먼 전자기 진공은 전하를 가진 (회전하는) 블랙홀을 모델링하는 반면, 케르-바이디야 무효 먼지는 유입되는 전자기 복사를 가진 (회전하는) 블랙홀을 모델링한다.

커 계량의 특수한 경우(a=0)는 슈바르츠실트 좌표에서 정적이고 구면 대칭인 ''비회전'' 블랙홀을 모델링하는 슈바르츠실트 계량을 생성한다. (이 경우 질량을 제외한 모든 제로크 모멘트가 사라진다.)

커 기하학의 ''내부'', 정확히는 그 일부는 등거리로 찬드라세카르-페라리 CPW 진공과 같으며, 이는 충돌하는 평면파 모델의 예시이다. 이는 특히 흥미로운데, 이 CPW 해의 전역 구조가 케르 기하학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실험자는 두 개의 적절한 중력 평면파의 충돌을 배치하여 케르 내부 (바깥 부분)의 기하학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10. 다중극 모멘트

커 기하학은 0이 아닌 일련의 상대론적 다중극 모멘트를 통해 특징지을 수 있다.[36] 처음 두 개는 장의 근원인 질량각운동량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센, 손, 게로흐는 상대론적 다중극 모멘트의 대안적 공식을 제시했는데, 이는 서로 일치한다. 커 기하학의 상대론적 다중극 모멘트는 한센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 M_n = M [i a]^n

따라서, 슈바르츠실트 진공의 특수한 경우(a=0)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단극 점원"을 제공한다.[36]

11. 극한 커 계량

|a|>M일 때, 커 시공간에는 사건 지평선이 존재하지 않으며, 벌거숭이 특이점을 가진다.[31]

12. 열린 문제

커 기하학은 종종 회전하는 블랙홀의 모델로 사용되지만, 해가 특정 콤팩트 영역 외부에서만 유효하다고 간주될 경우(특정 제한 조건에 따라), 이론적으로는 외향 해로서 중성자별이나 지구와 같은 블랙홀이 아닌 회전하는 질량체를 둘러싼 중력장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비회전 케이스의 경우 매우 잘 작동하며, 슈바르츠실트 진공 외부는 슈바르츠실트 유체 내부와 일치할 수 있으며, 실제로 더 일반적인 정적 구면 대칭 완전 유체 해와도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커 외부와 일치할 수 있는 회전하는 완전 유체 내부를 찾는 문제, 또는 실제로 임의의 점근적으로 평평한 진공 외부 해를 찾는 문제는 매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37] 특히, 한때 커 외부에 일치하는 후보로 여겨졌던 왈퀴스트 유체는 이제 그러한 일치를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로서는, 천천히 회전하는 유체 구를 모델링하는 근사적인 해만 알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질량과 각운동량이 0이 아니지만 고차 다중극자 모멘트가 0인 납작한 회전 타원체 구의 상대론적 유사물이다). 그러나 회전하는 얇은 원반을 모델링하는 정확한 먼지 해인 노이게바우어-마이넬 원반의 외부는 커 기하학의 극한 경우에 접근한다. 커 시공간의 일부를 식별하여 얻은 물리적인 얇은 원반 해도 알려져 있다.[37]

13. 역사

뉴질랜드의 수학자 로이 커가 1963년에 발견하였다.[45][46][47] 커 계량은 1915년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발견한 슈바르츠실트 계량의 회전체에 대한 일반화로, 전하를 띠지 않고 구형 대칭이며 회전하지 않는 물체의 시공간 기하학을 설명한다. 전하를 띤 구형의 비회전 물체에 대한 해인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은 그 직후(1916-1918)에 발견되었다. 그러나 전하를 띠지 않고 ''회전하는'' 블랙홀에 대한 정확한 해인 커 계량은 로이 커가 1963년에 발견하기 전까지 풀리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었다.[1][2] 전하를 띠고 회전하는 블랙홀에 대한 자연스러운 확장인 커-뉴먼 계량은 그 직후인 1965년에 발견되었다.

이 네 가지 관련 해는 다음 표로 요약할 수 있다.

비회전 (J = 0)회전 (J\mathbb{R})
무전하 (Q = 0)슈바르츠실트
전하 (Q\mathbb{R})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커-뉴먼


참조

[1] 논문 Gravitational Field of a Spinning Mass as an Example of Algebraically Special Metrics 1963
[2] 서적 "Cracking the Einstein code: relativity and the birth of black hole physics, with an Afterword by Roy Kerr"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논문 Divergent reflections around the photon sphere of a black hole Cosmic Dawn Center 2021-12
[4] 웹사이트 Black holes warp the universe into a grotesque hall of mirrors https://www.livescie[...] 2021-07-22
[5] 논문 Observation of Gravitational Waves from a Binary Black Hole Merger 2016-02-11
[6] 논문 Note on the Kerr Spinning-Particle Metric https://aip.scitatio[...] 1965-06-01
[7] 논문 Kerr–Newman metric 2014
[8] 논문 Bäcklund Transformation for the Ernst Equation of General Relativity https://link.aps.org[...] 1978-10-30
[9] 논문 A radiating Kerr black hole and Hawking radiation 2020-01
[10] 서적 The Classical Theory of Fields Pergamon Press 1975
[11] 서적 Relativistic Hydrodynam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문서 Lecture XXVI: Kerr black holes: I. Metric structure and regularity of particle orbits http://www.tapir.cal[...]
[13] 논문 Maximal Analytic Extension of the Kerr Metric 1967
[14] 논문 Solutions of the Einstein and Einstein-Maxwell Equations
[15] 논문 Distributional energy–momentum tensor of the Kerr–Newman spacetime family
[16] 서적 Energy of Black Holes and Hawking's Universe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17] arXiv The Kerr spacetime: A brief introduction 2008-01-14
[18] 서적 Exact Solutions of Einstein's Field Equ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Gravitational Solitons https://www.mobt3a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논문 Energetics of the Kerr–Newman black hole by the penrose process
[21] 문서 Black Holes: Energetics and Thermodynamics http://lapth.cnrs.fr[...]
[22] 문서 Rotating Black Holes https://www.staff.sc[...]
[23] 논문 Finally, results from Gravity Probe B 2011-05
[24] arXiv The Kerr spacetime: A brief introduction
[25] 웹사이트 Shadows of rotating black holes http://haegar.fh-swf[...]
[26] 논문 Global structure of the Kerr family of gravitational fields https://pdfs.semanti[...]
[27] 서적 Gravitation https://www.pdf-arch[...] 2017-08-22
[28] 논문 Rotating Black Holes: Locally Nonrotating Frames, Energy Extraction, and Scalar Synchrotron Radiation
[29] 논문 Rigidly rotating zero-angular-momentum observer surfaces in the Kerr spacetime
[30] 논문 Seeing Relativity -- III. Journeying within the Kerr metric toward the negative gravity region 2020-12
[31] 서적 The Mathematical Theory of Black Holes 1983
[32] 문서 Black hole Penrose diagrams http://jila.colorado[...] JILA Colorado
[33] 문서 About Time: Einstein's Unfinished Revolution https://archive.toda[...]
[34] arXiv The Kerr spacetime: A brief introduction
[35] 간행물 Penrose 1968
[36] 문서
[37] 논문 Relativistic disks as sources of the Kerr metric
[38] 논문 1968
[39] 논문 1968
[40] 논문 1970
[41] 간행물 Ph.D. Thesis London University, UK 1973
[42] 논문 1973
[43] 저널 The Spin of the Near-Extreme Kerr Black Hole GRS 1915+105
[44] 서적 Black holes in higher dimen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45] 저널 Gravitational field of a spinning mass as an example of algebraically special matrices 1963-09-01
[46] 저널 Focus: Landmarks—The curved space around a spinning black hole 2014-02-21
[47] 서적 The Kerr spacetime: rotating black holes in general relativity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